
지나온 30년, 달려갈 30년!
민간환경단체 지원사업 분석
총 지원규모
-
억원
공모사업 92,6억원
자체사업 15억원 -
건
총 지원건수
-
단체
지원단체수
(고유 단체 기준) -
년
사업기간
1994년 ~ 2025년 현재
- 양적 성과 연평균 약 3억원의 안정적 지원 규모 유지 619개 단체와의 파트너십으로 전국적 네트워크 구축 단체당 평균 2.9건 지원으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관계 형성 환경활동가 워크숍 등 자체기획사업으로 약15억원 지원
- 질적 의미 민간환경단체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법적·사회적 기반 마련 환경운동에서 생태전환으로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미리 대응 정부와 시장 외에 시민사회 영역으로서 민간환경단체의 역할 활성화에 기여
연도별 지원 현황
-
공모사업
지원년도 지원건수 지원금액(천원) 단체수 1994-2000 552 2,710,196 320 2001-2010 841 4,208,100 341 2011-2020 280 1,341,100 103 2021-현재 99 1,000,000 66 총합계 1,772 9,259,396 830 -
시기별 특성과 변화 추이

1994-2000: 환경운동 기반 조성
연평균 3.9억원, 단체당 평균 1.7건 지원
소규모 다건수 방식으로 저변 확대에 집중하며 환경인식 확산,
시민참여 기반 마련, 활동가 양성
키워드: 교육, 청소년, 제작, 운동, 환경보호, 시민, 홍보, 쓰레기, 지도자
소규모 다건수 방식으로 저변 확대에 집중하며 환경인식 확산,
시민참여 기반 마련, 활동가 양성
키워드: 교육, 청소년, 제작, 운동, 환경보호, 시민, 홍보, 쓰레기, 지도자
2001-2010: 시민참여 확산
연평균 4.2억원(최고), 단체당 평균 2.5건 지원
역대 최대 규모(841건, 42.1억원)로 마을 단위 활동, 체험교육 확산, 생활 밀착형 접근
키워드: 청소년, 교육, 캠프, 환경, 어린이, 실천, 만들기, 마을, 지도자
역대 최대 규모(841건, 42.1억원)로 마을 단위 활동, 체험교육 확산, 생활 밀착형 접근
키워드: 청소년, 교육, 캠프, 환경, 어린이, 실천, 만들기, 마을, 지도자
2011-2020: 기후위기대응
연평균 1.3억원(축소), 단체당 평균 2.7건(최고) 지원
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기후변화 본격대응,
생태적 삶 추구, 지역 공동체 강화
키워드: 환경교육, 청소년, 마을, 시민, 참여, 어린이, 실천, 기후, 생태, 돌봄
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기후변화 본격대응,
생태적 삶 추구, 지역 공동체 강화
키워드: 환경교육, 청소년, 마을, 시민, 참여, 어린이, 실천, 기후, 생태, 돌봄
2021-현재: 생태전환 모색
연평균 2.1억원, 건당 평균 1,010만원(2배 증가)
건당 지원액 2배 증가, 임팩트 중심의 선별 지원 생태전환 모색 및 사회 변화 지향
키워드: 기후, 생태, 탄소중립, 전환, 마을, 시민, 환경교육, 어린이, 교육, 식생활
건당 지원액 2배 증가, 임팩트 중심의 선별 지원 생태전환 모색 및 사회 변화 지향
키워드: 기후, 생태, 탄소중립, 전환, 마을, 시민, 환경교육, 어린이, 교육, 식생활
시기별 지원 패턴 변화
민간환경단체 지원사업은 30년간 '양적 확산'에서 '질적 심화'로 전환
- 지원 방식의 변화 소규모 다건수 → 대규모 집중 지원으로 전환 단체당 평균 지원금: 847만원 → 1,515만원(2배 증가) 건당 평균 지원금: 491만원 → 1,010만원(2배 증가)
- 환경운동 주제의 변화 환경보호/교육 중심 → 기후위기/탄소중립 중심 청소년/체험형 중심 → 능동적 참여/실천형 중심 개인 실천 강조 → 사회 구조적인 변화지향 일반 시민 교육 →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
분야별 지원 현황
분야별 지원 분야 분석
-
교육·네트워크 분야 (41.6%)
환경 재단 지원의 핵심 축으로 일관된 최대 비중 유지
2001-2010년 129.7% 급성장 (363건) 2021-현재 건당 지원액 774만원으로 질적 강화 환경 인재양성과 시민교육의 기반 역할 수행 -
조사·연구 분야 (25.1%)
건당 지원액이 가장 높은 전문성 중심 분야
1994-2000년 전문성 기반 구축 (163건) 2011년 이후 79.0% 급격 축소되었으나 2021-현재 건당 1,117만원으로 연구 품질 향상에 집중 -
캠페인·홍보 분야 (16.9%)
환경 인식 개선 및 사회적 확산 역할
2000년대까지 안정적 지원 유지 2011년 이후 77.8% 급감 2021-현재 건당 1,233만원으로 선별적 집중 지원 -
보호·실천 분야 (10.4%)
현장 중심의 직접적 환경보호 활동
2001-2010년 17.1% 완만 증가 2021-현재 극도로 축소(3건)되어 복원 필요성 대두 지역별 편차가 큰 분야 특성
지역별 지원현황
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지역별 지원 집중도
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